google-site-verification: google410cd8ab53157458.html
본문 바로가기
미스터리

공중도시 마추픽추

by amazing box 2023. 4. 7.
728x90
반응형

공중 석조도시

 

 

케추아 인디언어로 '오래된 봉우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고대 잉카의 공중도시 마추픽추 미스터리에 대해 이야기해보겠습니다.

 

1911년 잉카문명 조사를 위해 교수 하이럼 빙엄은 페루를 방문하여 연구하던 도중 한 원주민에게 산꼭대기에 고대 도시가 있다는 전설을 듣게 되고 그렇게 탐사 끝에 도착한 산 봉우리에는 고대 유적지가 존재하는 걸 확인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사라진 사람들

수백 명이 살고 있던 도시는 한순간에 버려졌고 그 사람들은 어디로 간 걸까?  가장 유력한 것은 전염병으로 인한 몰락이다. 스페인 정복자들이 잉카제국을 침략하기 위해 들어왔을 때 천 염두가 확산되어 면역이 없던 잉카인들이 죽어나갔다고 한다. 게다가 잉카제국 내에서도 내부분열이 생겨 잉카제국이 쇠퇴하여 마추픽추도 함께 쇠락했다는 것이다.  산 꼭대기 험한 산지에 있어 찾아가기도 힘들며 위치조차 알고 있는 사람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마추픽추는 그렇게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졌다고 한다.

 

여자와 어린이

마추픽추에서 발견된 유골의 80%는 여자와 어린이의 유골이라고 한다. 추측 가능한 점은 위에서 말했듯이 전염병이 돌기시작하여 마추픽추를 떠나는데 이동에 방해가 되는 여자와 어린이들을 죄다 생매장해버린 다음 마추픽추를 버리고 간 것이라고 사람들은 추측하지만, 왜 여자와 어린이의 유골이 유독 많은지 정확한 사실이 밝혀진 게 아니어서 아직도 의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대의 기술력

 

해발 2400미터 안데스 산맥 정상에 위치해 15세기경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마추픽추는 산 위아래로 이어진 정교하고 체계적인 수로, 산바람을 이용한 냉장고, 돌을 이용한 나침판과 해시계 15세기에 지어진 문명치고는 수준이 높았습니다.

평균 20톤 정도 되는 돌들을 매끈하게 잘라 쌓아 올려 바위틈 사이는 종이 한 장 못 들어갈 만큼 정교하다고 합니다. 가장 큰 돌들은 높이가 9미터, 무게는 360톤에 달하는데 고대 잉카인들은 인력만을 이용해 산 위로 옮겼다는 게 정말 믿기 힘든 것 같습니다. 

 

 

최근 마추픽추의 건축양식과 발굴된 유물을 재조사한 결과 처음 마추픽추가 생긴 시기는 잉카제국이 생기기도 전인 기원전 4천 년에서 2천 년 사이로 추정된다고 한다. 잉카인들은 만들어진 마추픽추를 보수하고 재건설에 사용했을 뿐 아직까지 누가 어떻게 지었는지 왜 산 정상에 석조도시를 만들었는지 밝혀지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728x90
반응형

'미스터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황청 타임머신  (0) 2023.04.08
노아의 방주  (0) 2023.04.07
자금성 비밀의 방  (0) 2023.04.07
칭기즈칸의 무덤  (0) 2023.04.03
저주받은 성배  (0) 2023.04.02

댓글